[조림학18]
조림학에서 열매의 분류 관련 기출문제와 기타 기출문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[열매의 분류] 1) 침엽수종 (1) 건구과(乾球果, dry cone) : 성숙한 구과에서 나출되어 종자가 떨어져 나온다. ex) 소나무류, 전나무류, 가문비, 솔송나무류, 삼나무류 (2) 육과(肉果, fleshy fruit) : 1개의 종자에 種衣狀의 구조물이 둘러싸고 있는 것 ex) 은행나무, 측백나무, 주목, 비자나무, 향나무 2) 활엽수종 (1) 건열과(乾裂果) : 과피가 성숙하면 건조하게 되어 갈라지고 종자가 떨어지는 과실 ① 삭과(蒴果) : 2개 이상의 심피가 합쳐서 1개 또는 여러 실로 된 자방을 만들고 성숙하면 열려 종자가 나온다 ex) 포플러, 오동나무, 버드나무, 동백나무 ② 협과(莢果) : 1개의 심피로 된 ..
2024. 3. 24.
[조림학17]
조림학에서 관련 기출문제(46~76)를 알아보겠습니다. 46. 종자 채취 적기 : 구과의 단단함이 약간 풀린 상태, 함수량이 감소된 때, 구과의 색택이 다소 퇴색된 때 47. 낙엽송의 꽃눈이 분화하는 시기 : 7월경 48. 매년 또는 격년으로 풍작이 오는 수종 : 리기다소나무, 소나무, 해송, 상수리나무, 단풍나무, 굴참나무, 아카시아 49. 2~3년마다 풍작이 오는 수종 : 전나무, 낙우송, 솔송나무 50. 3~4년마다 풍작이 오는 수종 : 가문비나무, 편백, 삼나무 51. 5~6년마다 풍작이 오는 수종 : 너도밤나무, 낙엽송 52. 5~7년마다 풍작이 오는 수종 : 이깔나무, 일본이깔나무 53. 결실에 주기성이 있는 것은 결실연도에 종자를 따서 장기간 저장해야 하므로 건조제를 넣고 밀봉저장을 해야 한..
2024. 3. 24.
[조림학15]
조림학에서 임목종자 관련 기출문제(1~20)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임목종자 1. 임목종자는 주로 자연림 또는 식재림에서 채집되고 있다. 2. 종피 : 종자의 보호조직으로 종자를 둘러싸고 있다.(주피 -> 종피, 주심 -> 내종피) 3. 나무종자의 일반적인 발아최적온도 : 20~25℃(23℃) 4. - 무배유종자 : 밤나무, 호두나무, 벽오동, 자작나무, 단풍나무, 참나무류 등 - 유배유종자 : 침엽수에 많으며 활엽수 중에는 물푸레나무, 피나무 5. 지하자엽형 발아 : 밤나무, 칠엽수, 호두나무, 상수리나무, 은행나무 6. 발아의 3요소 : 온도, 공기, 습도 7. 발아가 시작할 때 종피 밖으로 처음 나오는 부분 : 배 8. 가종피 : 배주가 발달할 때 주병이 발육해서 종자의 표면을 덮는 것, 비자나무가..
2024. 3. 24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