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잡학공부20

테스트4 [조림학16] 조림학 관련 기출문제(21~45)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21. 습윤저장 - 건사저장 : 밤나무, 은행나무, 참나무류, 탱자나무 함수량 많은 전분종자(밤.상수리.굴참.은행.도토리), - 노천매장 : 발아촉진을 위한 저장법. 종자를 모래와 섞어 묻는다. 땅 속 50~100cm 깊이가 적당. 햇빛이 잘 들고 배수가 좋으며 지하수가 고이지 않고 겨울에는 눈이나 비가 그대로 스며들 수 있는 장소를 선택. 22. 휴면연장이나 발아억제의 방법 : 저온에 밀폐저장, MH-30 처리, 온도조절 23. 종자저장시의 건조제 : 생석회, 나뭇재, 산성백토 24. 습적법에서 보습재료 : 톱밥 25. 습적법에서 종자의 함수량 : 20~50% 26. 밀봉저장에서 일반적인 함수량 : 5~7% 27. 밀봉저장시 황화칼리를 10%정도.. 2024. 3. 24.
테스트4 [조림학15] 조림학에서 임목종자 관련 기출문제(1~20)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임목종자 1. 임목종자는 주로 자연림 또는 식재림에서 채집되고 있다. 2. 종피 : 종자의 보호조직으로 종자를 둘러싸고 있다.(주피 -> 종피, 주심 -> 내종피) 3. 나무종자의 일반적인 발아최적온도 : 20~25℃(23℃) 4. - 무배유종자 : 밤나무, 호두나무, 벽오동, 자작나무, 단풍나무, 참나무류 등 - 유배유종자 : 침엽수에 많으며 활엽수 중에는 물푸레나무, 피나무 5. 지하자엽형 발아 : 밤나무, 칠엽수, 호두나무, 상수리나무, 은행나무 6. 발아의 3요소 : 온도, 공기, 습도 7. 발아가 시작할 때 종피 밖으로 처음 나오는 부분 : 배 8. 가종피 : 배주가 발달할 때 주병이 발육해서 종자의 표면을 덮는 것, 비자나무가.. 2024. 3. 24.
테스트4 [조림학14] 조림학에서 항속 림, 왜림작업, 중림작업 법, 대나무의 번식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◈ 항속림(Moller) : 택벌작업에 의해 이려 혼효림 작업 ① 택벌림에 가까움, 모든 방법을 동원하나 개벌은 금함 ② 해마다 간벌 형식의 벌채 반복 ③ 단목 택벌 원칙, 벌채목 선정 : 택벌작업 기준에 준함 * 소 벌고 : 대상 벌고(좁고 긴 띠 모양) 와 군상 벌(모지거나 둥근 모양)게 구분 소 벌고는 측방 성숙임 분의 영향을 받는다. ◈ 왜림작업 : 개벌왜림작업 법/택벌왜림작업 법/두목 작업법 * 개벌왜림작업에서 벌기에 도달한 참나무류의 버섯용 원목 특용 ․ 소경 재의 지름으로 적당한 범위 : 10~20cm * 왜림으로의 갱신 작업을 위한 벌채는 성장 휴지기(11월~이듬해 2월 이전)에 실시한다. * 맹아력이.. 2024. 3. 23.
테스트4 [조림학13] 조림학에서 택벌 천연하종 갱신방법 중 정의, 택벌인형, 작업 방법, 순환 택벌, 장점, 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◈ 택벌 천연하종 갱신방법 ① 정의 : 회귀년 미리 정해 놓음(갱신 기간 확정 X) - 교통 불편한 산림 : 20~30년 초기 택벌은 임분 중의 일정 직경 급 이상 또는 특용 재만을 택벌하는 것 ② 택벌인형 - 제1형 : 대경목이 비교적 많은 단목 택벌림, 전령 임형에 가까움 - 제2형 : 대경목이 비교적 적은 군계 택벌림, 균형적 이령림에 가까움 ③ 작업 방법 : 단목/군상/대상 ④ 순환 택벌 : 전 임지를 몇 개의 구역으로 나누고, 각 구역을 일정 기간마다 순환하면 일하기가 쉬워서 널리 적용. (다시 처음 구역으로 돌아오는 데 소요되는 기간이 회귀년임) ⑤ 장점 : 소면 적 임지의 보속.. 2024. 3. 23.